1. <벨라 타르, 시네아스트를 넘어서>(2011)
2012년 2월 29일
4월 말에 열릴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밍을 마무리하느라 경황이 없는 가운데, 오늘 저녁에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있을 <토리노의 말> 시네토크 준비를 하느라 밤을 새고 말았다. 이런저런 자료들을 살펴보던 중, 문득 4년 전(2009년) 2월 초 부다페스트에서 만났던 프랑스 청년이 떠올랐다. 벨라 타르 감독의 <사탄탱고>(1994) 15주년 기념행사에 초청받아 갔었는데, 7시간이 넘는 영화상영이 끝나고 나서 감독 및 배우들과 가진 술자리에서 장-마르크 라무르(Jean-Marc Lamoure)라는 이름의 청년과 오래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그 옆에선 타르 감독이 헝가리 전통주인 팔린카(palinka) - <토리노의 말>에서 주인공 농부가 마셔대는 그 술 - 예찬론을 1시간이 넘게 펼치고 있는 중이었다. 라무르는 타르 감독의 영화에 홀려 헝가리로 와, 당시 막 촬영이 시작되었던 <토리노의 말>의 연출부로 일하면서 타르 감독과 이 영화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있는 중이라 했다. 문득 그 다큐멘터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궁금해 인터넷을 뒤져보니, 두 달 전 프랑스에서 열린 벨라 타르 회고전에서 미완성 상태로 특별상영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아래는 이 다큐멘터리에 대한 정보다.
Tarr Béla, cinéaste et au-delà
(dir. Jean-Marc Lamoure)
(dir. Jean-Marc Lamoure)
On the occasion of the shooting of his new and final movie, TheTurin Horse, this documentary proposes a portrait of Hungary through the eyes of Béla Tarr, one of the greatest filmmakers of our times. Over the last thirty years, Hungarian filmmaker Béla Tarr has gathered around him an adopted family comprised of a renowned sculptor, a cashier, a former world canoeing champion, film technicians, actors, a writer and other individuals; a family of cinema where no hierarchy exists. Together they constitute and share a social and poetic vision of the human condition. We will meet them. In this documentary, we will also travel to the Hungarian flatlands and into the lives of the peasants and factory workers who were actors in his film, Sátántangó. Through these multiple encounters and across Béla Tarr’s films, we will discover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Hungary, visiting the last 30 years of its history, from the Communist era to the present day.
2012년 3월 4일
마틴 스콜세지의 <휴고>가 조르주 멜리에스의 영화와 생애에 경의를 표하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론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1896)을 바로크적 돌출효과에 입각한 영화적 경이의 기원으로 언급하면서 - 기차역이 영화의 주무대가 되고 있기도 하다 - 이를 스콜세지 자신이 3D 테크놀러지를 받아들인 데 대한 '변명'처럼 활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멜리에스가 영화적 판타지의 선구자라면 뤼미에르(와 그의 카메라맨들)은 카메라의 위치와 앵글 및 그 움직임이 주는 효과를 다양하게 실험했는데 - 가령 라즐로 모호이-너지가 베를린 라디오 송신탑에서 찍은 사진(1928)을 떠올리게 하는 극단적인 부감쇼트를 실험한 단편이라든지, 트래킹이나 핸드헬드 촬영의 실험 등등 - 거의 완전히 중력의 구속에서 해방된 듯한 <휴고>의 (CG로 보완된) 카메라워크는 그 자체로 뤼미에르적 호기심의 연장이라 할 만하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던 것 망각의 영화사를 복구/복원하는 작업이 시계공의 그것에 비견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멜리에스의 생애나 <달세계 여행>(1902)의 오리지널 컬러버전 발굴에 얽힌 일화를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휴고>보다 세르주 브롱베르와 에릭 랑주의 다큐멘터리 <기이한 여행 The Extraordinary Voyage>(2011) 쪽이 더 적절할 것이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시네마페스트" 부문에서 <달세계 여행> 복원버전과 함께 상영예정이다.)
2012년 3월 4일
작년 개봉작/미개봉작 베스트리스트를 꼽아 보면서 몇몇 영화잡지들에 의해 이미 발표된 리스트들을 살펴 보았음은 물론이다. 나의 리스트와 대조해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난 한 해 내가 놓친/피한 영화들은 무엇이었나 살펴보기 위해서. 가령 여러 잡지에서 베스트 10 가운데 하나로 꼽은 라스 폰 트리에의 <멜랑콜리아>, 누리 빌제 세일란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그리고 얼마 전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미셸 아자나비시우스의 <아티스트>는 일부러 보지 않은, 혹은 여러 번 볼 기회가 있었음에도 일부러 피한 영화들에 속한다. 그리고 당분간은 굳이 찾아 볼 계획이 없다. 꼭 보고 싶었지만 이상하게도 운이 맞지 않았던 영화는 자파르 파나히의 <이것은 영화가 아니다>를 꼽을 수 있겠다. (지난 한 해 출장으로 방문했던 거의 모든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지만 갑자기 약속이 잡힌다거나 매진이 된다거나 하는 이유로 매번 볼 기회를 놓쳤다.) 그리고 크리스티안 펫졸트, 도미닉 그라프, 크리스토프 호흐호이슬러 세 감독이 만든 <드라이레벤> 연작은 DVD로 보고 나서 꼭 영화관에서 다시 보고 싶었지만 이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제가 거의 없었다. (이 작품을 작년 베스트리스트에 넣지 못한 건 바로 그 때문이다.)
2. 마틴 스콜세지의 <휴고 Hugo>
2012년 3월 4일
마틴 스콜세지의 <휴고>가 조르주 멜리에스의 영화와 생애에 경의를 표하고 있음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론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1896)을 바로크적 돌출효과에 입각한 영화적 경이의 기원으로 언급하면서 - 기차역이 영화의 주무대가 되고 있기도 하다 - 이를 스콜세지 자신이 3D 테크놀러지를 받아들인 데 대한 '변명'처럼 활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멜리에스가 영화적 판타지의 선구자라면 뤼미에르(와 그의 카메라맨들)은 카메라의 위치와 앵글 및 그 움직임이 주는 효과를 다양하게 실험했는데 - 가령 라즐로 모호이-너지가 베를린 라디오 송신탑에서 찍은 사진(1928)을 떠올리게 하는 극단적인 부감쇼트를 실험한 단편이라든지, 트래킹이나 핸드헬드 촬영의 실험 등등 - 거의 완전히 중력의 구속에서 해방된 듯한 <휴고>의 (CG로 보완된) 카메라워크는 그 자체로 뤼미에르적 호기심의 연장이라 할 만하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던 것 망각의 영화사를 복구/복원하는 작업이 시계공의 그것에 비견되고 있다는 점이었다.
<달세계 여행> 컬러버전 프린트 복원 전 사진
역사적 사실에 입각해 멜리에스의 생애나 <달세계 여행>(1902)의 오리지널 컬러버전 발굴에 얽힌 일화를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휴고>보다 세르주 브롱베르와 에릭 랑주의 다큐멘터리 <기이한 여행 The Extraordinary Voyage>(2011) 쪽이 더 적절할 것이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시네마페스트" 부문에서 <달세계 여행> 복원버전과 함께 상영예정이다.)
3. 보지 못한/않은 영화들
2012년 3월 4일
작년 개봉작/미개봉작 베스트리스트를 꼽아 보면서 몇몇 영화잡지들에 의해 이미 발표된 리스트들을 살펴 보았음은 물론이다. 나의 리스트와 대조해 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난 한 해 내가 놓친/피한 영화들은 무엇이었나 살펴보기 위해서. 가령 여러 잡지에서 베스트 10 가운데 하나로 꼽은 라스 폰 트리에의 <멜랑콜리아>, 누리 빌제 세일란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그리고 얼마 전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한 미셸 아자나비시우스의 <아티스트>는 일부러 보지 않은, 혹은 여러 번 볼 기회가 있었음에도 일부러 피한 영화들에 속한다. 그리고 당분간은 굳이 찾아 볼 계획이 없다. 꼭 보고 싶었지만 이상하게도 운이 맞지 않았던 영화는 자파르 파나히의 <이것은 영화가 아니다>를 꼽을 수 있겠다. (지난 한 해 출장으로 방문했던 거의 모든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지만 갑자기 약속이 잡힌다거나 매진이 된다거나 하는 이유로 매번 볼 기회를 놓쳤다.) 그리고 크리스티안 펫졸트, 도미닉 그라프, 크리스토프 호흐호이슬러 세 감독이 만든 <드라이레벤> 연작은 DVD로 보고 나서 꼭 영화관에서 다시 보고 싶었지만 이 영화를 상영하는 영화제가 거의 없었다. (이 작품을 작년 베스트리스트에 넣지 못한 건 바로 그 때문이다.)
4. <디지털 삼인삼색 2012 Jeonju Digital Project 2012> 참여감독들의 비디오 메시지
라야 마틴 (필리핀)
비묵티 자야순다라 (스리랑카)
잉량 (중국)
* <디지털 삼인삼색>을 위해 감독들이 준비 중인 작품 소개 및 인터뷰는 아래 링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