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제영화제 평가 (3.26)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다 작년부터 영화진흥위원회 주관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영화제평가(Evaluation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라는 게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생소하고 또 그다지 관심 둘 이유도 없는 것이겠지만, 매년 초마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영화제 관계자들의 촉각을 곤두서게 만들곤 한다. 결과에 따라 영화제별 정부지원(영화발전기금) 금액이 달라지기도 하는 탓이다. 2012년 현재, 영화발전기금이 지원되는 국제영화제는 (개최시기별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제천국제영화음악제, 부산국제영화제 총 6곳이다. 총 5인의 평가위원이 각 영화제를 돌며 여러 항목에 대해 평가를 하고 기타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자료 - 통계에 관한 한 문외한에 가까운 내가 봐도, 항목분류나 자료처리에 있어 좀 기이하게 느껴지는 것들도 간혹 있다 - 등을 수집해 <국제영화제 평가보고서>를 작성, 발간하곤 하는데, 당연히 정독하기에 좋은 책은 아니지만 읽다보면 차기 영화제 준비에 있어 도움되는 지적들을 적잖이 발견할 수 있어 꽤 유용하다. 다만 평가위원 5인을 선정하는 기준이 항상 궁금한데, 도무지 영화적 안목이라곤 없어 보이는 이가 매년 한두명 포함되곤 하기 때문이다. (진담 반 농담 반으로 나는 종종 국제영화제평가제도를 개선하기 위해선 평가위원에 대한 평가제도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말하곤 했다.) 올해 나를 가장 웃겨준 이는 이 보고서에 '평가위원 3'이라 기재된 분이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어떤 영화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평가의 기준이 이 '평가위원 3'과 같은 식이라면 용납하기 힘들어진다. 가령 이분은 작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마련한 포르투갈영화 특별전을 비판하고 있는데, 그 이유인즉 이 섹션이 영화제 전체 프로그램 가운데 관객설문으로 집계된 "5대 인기섹션과 10개 인기작에 한 작품도 들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11편의 숨은 보석들이라는 영화제측 과장과 달리 수작(<갇힌 여인>)과 태작(<녹색의 해>)이 공존했다"고 짐짓 전문가 흉내를 낸다. (아무리 취향의 차이를 존중한다 해도, 파울루 로샤의 <녹색의 해> 같은 영화를 감히 태작이라 단정내리는 이를 '영화전문가'로 인정하는 건 나로선 불가능한 일이다.) 한편 로컬시네마 부문에서 상영된 한국장편영화 <위도>를 "로컬시네마의 가능성을 보여준" 영화라 상찬하면서 그 이유를 (지역에서 제작된 영화임에도) "영화배우 정찬과 이두일을 캐스팅할 정도의 규모를 과시"했다는 데서 찾고 있다. (이 부분을 읽다가, 나는 웃음을 참지 못하고 마시던 음료수를 그만 내뿜고 말았다.) 그리고 보고서 말미에 가선 전주영화제에 마지막 충고를 던진다. "영화제 프로그램의 일부 지나친 혁신성 및 대안성 지향은 조율되어야 하며 - 몹시 '지루한' 작품 편수의 축소 - 상영장 주변의 즐길 거리 부족과 음식 값 앙등의 문제도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지나친 혁신성을 지양하고자 한다면 '적당한' 혁신성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할 것인데 나는 이 형용모순의 요구에 대답할 방법을 알지 못한다. ('평가위원 3'의 논리대로라면 지나치게 혁신적이고 대안적인 영화는 몹시 지루한 영화들이라는 말도 안되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한 영화가 관객 앞에 보여지기도 전에 그것이 '지루한' 것이 될지 아닐지를 - 게다가 모든 관객에게 - 알기 위해선 프로그래머가 아니라 예언가가 필요할 것이다.
필립 가렐의 영화는 그 영화를 제작할 당시의 그와 비슷한 나이가 되어서 볼 때 좀 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 내가 처음으로 본 가렐의 영화는 20대 후반 한 출판사 사무실에서 비디오로 본 <계시자 Le révélateur>(1968)였는데, 그 이후로도 한동안 그의 후기작보다는 그가 20대 무렵에 연출한 실험적인 영화들 - <추억의 마리 Marie pour memoire>(1967), <처녀의 침대 Le lit de la vierge>(1969), <내부의 상처 La cicatrice intérieure>(1972) - 에 더 끌리곤 했던 것 같다. (<평범한 연인들 Regular Lovers>(2005)같은 예외가 있기는 하다.) 그러니까 <더 이상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없어 J'entends plus la guitare>(1991)를 2004년 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보았을 때 - 당시 나는 아직 프로그래머로 일하기 전이었다 - 영화의 독특한 형식이나 무드를 인지하긴 어렵지 않았지만 감정적으로 다가가기는 요령부득이었던 것이다. 비로소 나이 마흔이 되어서 <더 이상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없어>를 다시 보다가, 마음을 깊이 울리는 장면들이 적지 않음을 뒤늦게 깨닫곤 적이 놀라는 중이다. 특히 1) 제라르를 떠났던 마리안느가 다시 돌아와 그의 집 앞에서 재회하는 장면, 2)변기에 앉아 소변을 보는 마리안느와 그 옆에 앉은 제라르가 키스를 나누는 모습을 담은 롱숏, 3) 제라르 앞에서 헤로인을 꺼내드는 마리안느의 얼굴 클로즈업으로 차례로 이어지는 부분에선, 가렐 특유의 과감하게 생략적인 편집이 사랑이라는 감정의 본질을 드러내는 장치가 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환희, 세속성 그리고 내재하는 파국을 동시에 품고서 끊임없이 진동하는 모호한 감정으로서의 사랑. 그리고 불행히도 사랑이란 이런 것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언제나 파국이 이미 도래한 다음이라는 것 (아마 이것이야말로 가렐의 많은 영화가 플래시백이 없이 작동하는 추억의 영화, 혹은 영화적 추억처럼 느껴지는 이유이리라).
총선 개표방송을 보다 잠이 들었다. 남한 중동부 전역이 벌겋게 뒤덮여 있는 그래픽을 보다가 이번 총선의 의의라면 많은 이들이 레드컴플렉스로부터 마침내 벗어났다는 사실이 아닐까, 하는 실없는 생각을 했다. 2주 후에 개막할 영화제가 저 시뻘건 지역 어디에선가 열리지 않는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라는 또 하나의 실없는 생각과 함께. 물론 저 노란 녀석들도 바라보고 있노라면 한숨이 밀려 오기는 마찬가지다. 아내가 이민 가고 싶다고 말하기에, 남극으로 갈 게 아니라면 어디에든 저 붉은 재킷의 당원들을 이끄는 아줌마 같은 이들이 있을 거라고 했다. 하여간 싸워야 할 곳은 여기이며, 무엇보다 가증스러운 공경에 맞서 무례함의 가치를 옹호해야 한다.
2. 필립 가렐의 <더 이상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없어> (4.9)
필립 가렐의 영화는 그 영화를 제작할 당시의 그와 비슷한 나이가 되어서 볼 때 좀 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 내가 처음으로 본 가렐의 영화는 20대 후반 한 출판사 사무실에서 비디오로 본 <계시자 Le révélateur>(1968)였는데, 그 이후로도 한동안 그의 후기작보다는 그가 20대 무렵에 연출한 실험적인 영화들 - <추억의 마리 Marie pour memoire>(1967), <처녀의 침대 Le lit de la vierge>(1969), <내부의 상처 La cicatrice intérieure>(1972) - 에 더 끌리곤 했던 것 같다. (<평범한 연인들 Regular Lovers>(2005)같은 예외가 있기는 하다.) 그러니까 <더 이상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없어 J'entends plus la guitare>(1991)를 2004년 봄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처음 보았을 때 - 당시 나는 아직 프로그래머로 일하기 전이었다 - 영화의 독특한 형식이나 무드를 인지하긴 어렵지 않았지만 감정적으로 다가가기는 요령부득이었던 것이다. 비로소 나이 마흔이 되어서 <더 이상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없어>를 다시 보다가, 마음을 깊이 울리는 장면들이 적지 않음을 뒤늦게 깨닫곤 적이 놀라는 중이다. 특히 1) 제라르를 떠났던 마리안느가 다시 돌아와 그의 집 앞에서 재회하는 장면, 2)변기에 앉아 소변을 보는 마리안느와 그 옆에 앉은 제라르가 키스를 나누는 모습을 담은 롱숏, 3) 제라르 앞에서 헤로인을 꺼내드는 마리안느의 얼굴 클로즈업으로 차례로 이어지는 부분에선, 가렐 특유의 과감하게 생략적인 편집이 사랑이라는 감정의 본질을 드러내는 장치가 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환희, 세속성 그리고 내재하는 파국을 동시에 품고서 끊임없이 진동하는 모호한 감정으로서의 사랑. 그리고 불행히도 사랑이란 이런 것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언제나 파국이 이미 도래한 다음이라는 것 (아마 이것이야말로 가렐의 많은 영화가 플래시백이 없이 작동하는 추억의 영화, 혹은 영화적 추억처럼 느껴지는 이유이리라).
3. 총선 (4.12)
총선 개표방송을 보다 잠이 들었다. 남한 중동부 전역이 벌겋게 뒤덮여 있는 그래픽을 보다가 이번 총선의 의의라면 많은 이들이 레드컴플렉스로부터 마침내 벗어났다는 사실이 아닐까, 하는 실없는 생각을 했다. 2주 후에 개막할 영화제가 저 시뻘건 지역 어디에선가 열리지 않는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라는 또 하나의 실없는 생각과 함께. 물론 저 노란 녀석들도 바라보고 있노라면 한숨이 밀려 오기는 마찬가지다. 아내가 이민 가고 싶다고 말하기에, 남극으로 갈 게 아니라면 어디에든 저 붉은 재킷의 당원들을 이끄는 아줌마 같은 이들이 있을 거라고 했다. 하여간 싸워야 할 곳은 여기이며, 무엇보다 가증스러운 공경에 맞서 무례함의 가치를 옹호해야 한다.
푸하하. 그냥 넘어갈 수 없어 저도 함께 푸하하 하다가 댓글을 남깁니다. 작년 포르투갈 영화 특별전과 키들랏 타히믹 감독전을 너무 즐겁게 본 관객으로서 참 황당하네요ㅋㅋ 물론 이런 반응은 평가위원3만의 아주 주관적인 평가이겠지요? 전문가가 아닌 저와 같은 일반 관객들에게도 충분한 흥미를 주었던 '적당하고', '지루한' 영화들 올해도 기대됩니다^ㅡ^
답글삭제